반응형
주식/공시, 펀드/ETF, 부동산, 거시지표, 가상자산, 소비자보호까지 한 곳에 정리. 모든 링크는 공식·대표 사이트 기준입니다.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이며, 각 기관의 최신 공지/공시를 확인하세요.
① 주식/공시
DART 전자공시(금융감독원)
- 활용팁: ‘회사별 검색’에서 기간·공시유형 필터로 핵심 자료만 추리기
- 대체/보완: 거래소 공시(KIND), 기업 IR
공시 원문이 최우선입니다. 요약 기사만 보고 투자 판단하지 마세요.
KIND 공시(한국거래소)
- 활용팁: 속보성 공시 확인 후 DART 원문으로 상세 검증
- 보완: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지수/시장데이터 확인
👉 KIND · KRX 정보데이터시스템
Investing.com / 네이버금융
- 활용팁: 해외지수·원자재 등 거시 민감 자산 동향을 한 화면에서 점검
- 보완: 국내 종목은 네이버금융 개별종목 페이지로 빠른 체킹
👉 Investing.com · 네이버금융
② 펀드/ETF
금융투자협회 펀드정보(One-Click)
- 활용팁: 동일 테마 펀드 간 ‘보수/성과/자산구성’ 비교 후 운용보고서 원문 확인
- 보완: DART의 펀드공시 상세검색으로 크로스체크
ETF 리서치(해외 참고)
- 활용팁: 국내 상장 유사 ETF와 지수구성 비교, 추적오차·총보수 확인
- 보완: 국내 운용사 홈페이지/정관·투자설명서 원문 확인
👉 Morningstar · ETFdb
③ 부동산
④ 거시지표
⑤ 가상자산
코인 시세/정보
- 활용팁: 동일 종목의 거래소별 시세 괴리 확인(호가/유동성 점검)
- 보완: 국내 거래는 국내 거래소 고지/안내 및 리스크 공지 확인
변동성이 매우 큽니다. 리스크 공지/수수료/보안 공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⑥ 금융소비자 보호/계좌 찾기
퀵 도구박스
복리 계산법(간단 공식)
- 복리 근사: 최종금액 ≈ 원금 × (1 + r)^n (r=연수익률, n=연수)
- 72의 법칙: 72 ÷ 연수익률(%) ≈ 원금 2배까지 걸리는 년수
자주 묻는 질문 (FAQ)
KIND와 DART 차이는?
KIND는 거래소 공시, DART는 금감원의 전자공시 시스템으로 정기/수시/펀드 등 원문 공시 범위가 넓습니다. 속보 확인은 KIND, 최종 검증은 DART 원문이 안전합니다.
펀드는 어디서 비교하나요?
금융투자협회 펀드정보(One-Click)에서 보수·성과·보고서 링크를 한 번에 보고, DART 펀드공시로 원문까지 교차 확인하세요.
거시지표는 어디서 신뢰 있게 보나요?
한국은행 ECOS와 경제통계 페이지에서 공식 통계를 내려받아 직접 분석하는 게 가장 확실합니다.
안내 · 본 글은 상시 접근 가능한 공식/대표 사이트 위주입니다. 공시/지표/상품 조건은 수시 변경되므로 최종 판단 전 원문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 (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.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