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핵심 요약: 차지백은 카드사가 거래를 되돌려 결제 대금을 가맹점으로부터 회수하는 절차다. 비인가 결제·미수취·오류 청구·구독취소 미반영 등에서 활용한다. 기한(Dispute Deadline)과 사유코드(Reason Code), 증빙의 질이 승패를 가른다.
1) 차지백 한 장 요약
- 대상: 비인가 결제(카드 도난/스키밍/계정도용), 상품 미수취, 오류·중복 청구, 구독취소 미반영, 허위 광고/상당한 불이행.
- 흐름: 소비자 분쟁 제기 → 발급사 조사 → 국제 브랜드 네트워크 → 가맹점소속사(결제대행) 반론 → 판정/환불.
- 핵심 변수: 기한, 사유코드 정확 매칭, 증빙(로그·이메일·배송추적·취소요청서 등).
2) 사유코드 매칭(요약)
케이스 | 예시 Reason Code | 증빙 핵심 |
---|---|---|
비인가 결제 | Fraud/Unauthorized | 분실·도난 신고, 기기/IP로그 불일치, 2FA 미사용 이력 |
미수취/미이행 | Goods/Services Not Received | 배송추적 부재, 판매자 미응답 캡처, 약속일 경과 |
구독취소 미반영 | Recurring Billing Cancelled | 해지 요청 메일/티켓번호, 약관의 해지 조건 스크린샷 |
오류·중복 청구 | Duplicate/Incorrect Amount | 거래내역 대조표, 영수증 스캔, 중복 승인 캡처 |
상품 설명과 상이 | Not as Described/Defective | 사진·영상 증거, 판매 페이지 사본, 반품 시도 증빙 |
* 실제 코드명은 브랜드·발급사에 따라 다릅니다. 카드사 안내를 우선 확인.
3) 승소율 올리는 ‘증빙 패키지’ 구성
- 타임라인 표: 결제일 → 문의일 → 판매자 답변 → 해지요청/재확인 → 미이행 증거.
- 연락 증거: 이메일/채팅/티켓번호 원문 캡처(타임스탬프 포함).
- 배송·접속 로그: 택배 추적번호, 로그인 IP/디바이스 이력.
- 약관 캡처: 환불/해지 조항, 배송기한, 품질보증.
- 진술서: 사실관계 요약 + 요구사항(전액/부분 환불) 명시.
4) 단계별 절차(3분 컷)
- 거래 잠금: 해당 판매자·구독 차단, 카드 일시정지/재발급.
- 판매자 이의제기: 1차 환불 요청(기한 명시) → 미처리시 차지백 예고.
- 카드사 분쟁 접수: 모바일/콜센터에서 사유코드 선택 후 증빙 업로드.
- 추가자료 대응: 가맹점 반론 오면 대응서면 보강(로그·약관·사진).
- 결과·후속: 부분승인 시 잔액 조정 요청, 재분쟁 가능 여부 확인.
5) 기각되는 6가지 패턴(주의)
- 구두 통화만 하고 서면 증거가 없다.
- 약관상 환불 불가 조항을 확인하지 않았다.
- 기한(Dispute Window)을 넘겼다.
- 구독 해지를 앱 삭제로 착각했다(해지 티켓 無).
- 배송지/수취인 본인이어도 미수취 증빙을 못 냈다.
- 본인·가족 사용을 타인 도용으로 주장(로그/기기 일치).
6) 자주 묻는 질문
Q1. 판매자 연락 없이 바로 차지백 가능?
가능 케이스도 있으나, 판매자 연락 시도 증거가 있으면 유리하다(특히 미수취/구독취소).
Q2. 해외 결제도 되나요?
대부분 가능. 다만 브랜드/국가마다 기한·증빙 요구가 다르다.
Q3. 부분환불만 가능한가요?
사안에 따라 부분/전액 모두 가능. 오·중복 청구는 중복분 환불.
Q4. 결과가 불리하면 추가 구제는?
카드사 재심, 금감원 분쟁조정, 민사 등 단계적 검토.
반응형
'소소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셰어링 감가상각 청구, 어디까지 합법? 감정서·거래사례로 반격하는 법 (0) | 2025.09.22 |
---|---|
PG/VAN 수수료 ‘진짜’ 줄이는 실전 가이드 (1) | 2025.09.22 |
자동차사고 후 보험사 ‘구상금(구상권) 청구’ 대응 가이드 (0) | 2025.09.22 |
디지털 유산 · 온라인 계정 상속 올인원 링크 백과 (0) | 2025.09.19 |
해외 송금 수수료/환율 총비교 (은행 vs 핀테크) (0) | 2025.09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