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소소한 정보

PG/VAN 수수료 ‘진짜’ 줄이는 실전 가이드

by allinformatio 2025. 9. 22.
반응형
PG/VAN 수수료 절감 실전 가이드 | MDR·스프레드·정산주기·차지백 리스크 관리

핵심 요약: 결제 비용은 MDR(가맹점수수료) + 정액 수수료 + 환전/스프레드 + 정산 주기 비용 + 차지백 리스크 비용의 합이다. 매출구성·평균객단가·결제수단 믹스에 맞춰 공급사와 데이터 기반 협상을 걸어야 진짜로 내려간다.

1) 결제 총비용(TPC) 구조 한 장 요약

TPC(Total Payment Cost) = MDR + 정액 수수료(승인/정산/플랫폼) + 환전/스프레드 + D+N 정산 비용 + 차지백/부정거래 손실 기대값

  • MDR: 신용/체크/간편결제별 가맹점 수수료율
  • 정액 수수료: 건당/월 정액(승인, 취소, 정산, 정기결제)
  • 환전/스프레드: 외화결제·해외카드 비중이 있을 때 숨어있는 비용
  • 정산 주기 비용: D+0/D+1/D+7 등 자금회전 차이
  • 리스크 비용: 차지백·부정거래·분쟁 처리 인건비

2) PG vs VAN vs 자체 빌링(간편결제 포함)

항목 PG(결제대행) VAN(단말/망) 자체 빌링/간편결제
적합 온라인/구독/다수 결제수단 오프라인 매장 규모↑·개발 여력
수수료 MDR+정액 혼합 MDR 중심 MDR 낮을 수 있으나 구축비↑
정산 D+0~D+7 옵션 D+1~D+7 커스텀 가능
리스크 차지백/해외카드 관리지원 대체로 낮음 직접 관리 필요

3) 협상 전에 ‘데이터 팩’부터 만든다

  • 월 매출·건수 (피크/비수기 분리)
  • 평균/중앙 객단가 (고가/저가 비중)
  • 결제수단 믹스 (신용·체크·간편·해외카드·무이자)
  • 환불율·차지백율 (분쟁 사유·패턴 포함)
  • 정산 요구 (D+0/1/3/7 시뮬레이션, 현금흐름 효과)

→ 이 데이터를 근거로 MDR 인하/정액 면제/정산단축 패키지로 제안.

4) 바로 쓰는 협상 스크립트(요지)

  1. “최근 3개월 월평균 매출 ○○원/건수 ○○건이고, 평균 객단가 ○○원입니다.”
  2. 해외카드 비중 ○%, 간편결제 ○%라 스프레드 부담이 큽니다.”
  3. D+1 정산이면 광고/재고 회전이 ○% 개선됩니다. 정산단축+MDR ○bp 인하 패키지 검토 부탁합니다.”
  4. “경쟁사 제안은 MDR ○.% + 건당 ○원입니다. 무이자 분담은 ○개월까지만 가능하겠습니다.”

5) 차지백/부정거래 리스크를 줄여야 수수료도 내려간다

  • 2단계 인증·CVV·주소검증(AVS)·속도제한(레이트리밋)
  • 고위험 패턴 룰셋: 고가/다건/국가/IP 프록시 탐지
  • 명확한 환불/교환 정책고객센터 응답 SLA 공개
  • 출고/배송 트래킹 증빙 자동저장(차지백 대응 자료)

6) 계약서에서 꼭 확인할 8가지

  1. MDR 테이블(수단별·구간별)
  2. 정액 수수료(승인/취소/정기결제/정산/보증)
  3. 정산 주기(D+0/1/7)와 보증/예치 조건
  4. 무이자할부 비용 분담 범위
  5. 해외카드/외화결제 수수료·스프레드
  6. 차지백/분쟁 대응 SLA 및 증빙 요구
  7. 해지 위약금·최소이용기간
  8. 데이터 접근권(대시보드·API·로그 보관)

7) 자주 묻는 질문

Q1. 매출이 작아도 수수료 인하가 될까요?

가능합니다. 객단가/환불율/차지백율이 우수하면 협상 여지가 큽니다. 정산단축 대신 MDR 동결 같은 교환안도 활용하세요.

Q2. D+0 정산 옵션은 언제 유리하죠?

광고/재고 회전이 빠른 업종은 유리하나, 추가 수수료와 보증/예치 조건을 함께 비교해야 합니다.

Q3. 간편결제 붙이면 수수료가 꼭 오르나요?

수단별 MDR은 다를 수 있지만, 전환율↑·장바구니 이탈↓순이익이 개선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.

*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입니다. 실제 수수료·정산·약관은 결제사/카드사 정책과 업종·규모에 따라 다릅니다. 계약 전 수수료표·약관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
반응형